정부지원금

부산청년 기쁨두배통장

청년지원금

부산청년 기쁨두배통장 확인하세요!

근로 청년의 자산 형성을 돕는 이 제도는 매칭 지원으로 저축액을 두 배로 만들어주는 혜택

2025년 7월 23일까지 마감신청

🌏 부산청년 기쁨두배통장

1. 신청 자격

① 거주: 주민등록 기준 부산광역시 거주 (외국인 제외).
② 연령: 18세~39세 (1985.1.1. ~ 2007.12.31. 출생).
③ 근로: 근로 중인 자 (4대 보험 중 1개 이상 직장 가입자 또는 자영업자).
• 자영업자: 본인 명의 사업자등록증 소지.
• 일용직: 공고일 전월 및 당월 합산 20일 이상 근무.
④ 소득: 월 소득 3,589천 원 이하 (기준 중위소득 150%).
• 건강보험료로 판단 (노인장기요양보험료 제외):
• 직장가입자: 127,230원 이하.
• 지역가입자: 58,386원 이하.
• 본인이 건강보험료 납부자가 아닌 경우 신청 불가.

2. 지원 금액

• 월 10만원* 24개월= 240만원(본인저축액) +240만원(시 지원금) /480만원+이자(만기수령액) .
• 월 10만원* 36개월= 360만원(본인저축액) +360만원(시 지원금) /720만원+이자(만기수령액) .

3. 신청 제외자

• 유사 자산형성지원 사업 참여 중이거나 참여 이력이 있는 자 (중복 참여 불가).
• 중앙부처: 청년내일채움공제, 청년재직자내일채움공제, 희망키움통장 I·II, 청년내일저축계좌, 미래행복통장 등.
• 부산시: 청년희망날개통장, 부산청년희망적금 2400, 부산형 조선·기자재업 내일채움공제, 부산형 관광·마이스업 내일채움공제, 부산형 조선·기자재업 신규희망공제, 부산형 관광·마이스업 일자리 채움 지원금, 폐업 소상공인 희망두배통장.
• 타 지자체: 서울시 희망두배 청년통장, 경기도 청년 노동자 통장, 대전 청년희망통장, 광주 청년13(일+삶)통장, 대구 청년희망적금, 전남 청년희망디딤돌통장 등.
• 예외: 타 자산형성지원사업 참가 중 지원을 받지 않은 경우 신청 가능.
• 중복 가능: 금융위원회 청년도약계좌.
• 부산청년 기쁨두배통장 참여 이력 또는 참여 중인 자.
• 2025년 부산청년 일하는 기쁨카드지원 사업 및 사회진입활동비(디딤돌카드) 참여자 (2025년 이전 참가자는 가능).
• 군복무자 및 군복무 대체 근무자 (산업기능요원, 사회복무요원 등).
• 본인 명의 통장 개설이 불가능한 자.
• 사치·유흥·향락업체, 도박, 사행업 등 종사자 및 운영자.

유의사항

• 신청 시 전자서명 준비 (공인인증서 또는 모바일 인증 필요).
• 공공마이데이터 연계로 서류 제출 부담 완화, but 데이터 오류 시 보완 필요.
• 신청 첫째 날(7월 8일)과 마지막 날(7월 23일) 서버 혼잡 예상.

제출 서류

• 온라인 작성 서류:
• 자가진단표: 온라인 작성
• 참가신청서: 온라인 전자서명 필수 (한글 정자).
• 개인정보 수집·이용 및 제3자 제공·조회 동의서: 본인 동의 후 온라인 전자서명 (한글 정자).
• 본인정보 제3자 제공요구서: 공공마이데이터 활용을 위한 작성.
• 증빙서류: 거주, 근로, 소득 등은 공공마이데이터 연계/조회로 대체, 별도 서류 미제출.

4. 신청 방법

• 신청 기간: 2025년 7월 8일(화) 09:00 ~ 7월 23일(수) 18:00.
• 신청 방법: 부산청년 기쁨두배통장 누리집 온라인 신청.
• 신속지급: 2025년 2월 17일부터 예산 소진 시까지 (2월 17~18일은 홀짝제 적용).
• 확인지급: 2025년 4월 21일부터 예산 소진 시까지.
• 오프라인 지원: 디지털 취약계층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77개 지역센터 방문 가능.